0. 서론
최근 들어서 제 주위에서 카메라를 장만하시는 분들이 생기고 있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
처음에 물어보는 게 a6000번대 a7과 고민 중이다 이 둘의 차이가 뭐냐고 물어보는데요.
크롭바디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
1. 크롭의 의미
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크롭바디와 풀프레임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.
크롭의 뜻은 일부를 잘라내다.
여기서 잘라내다 라는 뜻은 센서의 크기가 작아졌다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
정말 간단하게 설명하면 35mm 기준의 필름카메라를 디지털로 만든 센서의 크기가 풀프레임 센서를 의미하고
이보다 센서를 작게 만든 센서를 크롭 센서라고 지칭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그러니깐 이해하기 쉽게 단편적으로 적으면
풀프레임 센서 - 원래 크기
크롭 센서 - 풀프레임 센서보다 작게 만든 센서
라고 이해 할 수 있겠습니다.
2. 크롭바디 카메라와 렌즈가 저렴한 이유
그럼 똑같은 카메라인데 크롭 센서가 더 저렴한 이유가 설명이 가능해집니다.
풀프레임보다 센서를 작게 만들고
이 작아진 센서에 빛을 담는 렌즈를 더 작게 만들 수 있고 그렇다면 제품의 단가는 낮아지는 겁니다.
물론 이 말이 무조건적으로 맞다라고 얘기할 수 없지만 통상적으로 그렇게 이야기합니다.
취미로 사진을 촬영한다면 크롭바디로 시작해라는 말이 여기서 시작됩니다.
전문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풀프레임 카메라보다 비교적 저렴하게 사진활동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3. 크롭바디의 장점은
위에서도 이야기했듯 크롭바디의 장점은 저렴하다입니다.
저렴한 가격에 더불어 풀프레임보다 작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크기도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.
4. 크롭바디에서 항상 환산화각이 나오던데 이건 또 뭐야?
카메라를 입문하기 전에 카메라에 대해서 공부를 하신 분들은 계속해서 언급되는 환산화각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환산화각이란 크롭바디의 센서크기가 작아짐으로 인해 생기게 되는데
소니를 예를 들어 E마운트 50mm 렌즈와 FE마운트 50mm 렌즈가 있다고 가정합니다.
이 렌즈의 두 가지 모두 센서와 상이 맺히는 거리가 50mm라는 뜻입니다.
크롭센서는 더 작게 만들었기 풀프레임 보다 소니의 크롭 센서는 1.5배 작기 때문에 1.5를 곱해 75mm가 됩니다.
아니 센서가 1.5배 작은데 왜 1.5배 크게 보여?
이걸 말로 설명하면 조금 복잡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이미지를 가져왔습니다. (저번 설명에 사용했던 이미지)

똑같은 16mm이더라도 풀프레임 센서가 더 크기 때문에 상이 더 크게 맺힌다는 거죠 이해가 되셨나요?
환산화각은
크롭비율 * 렌즈의 mm =
로 계산하시면 됩니다.
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이며 더 많은 카메라 정보를 알고 싶으시다면 북마크를 추가해 주세요! 감사합니다.
'IT 리뷰, 카메라 정보 > 카메라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-70mm F/2.8렌즈가 필요한 이유 (1) | 2023.11.10 |
---|---|
a7r2와 삼양 85mm F1.4 소니 FE 로 실사용 촬영 결과물 (0) | 2021.08.24 |
카메라 셔터스피드가 사진에 주는 영향 직접 찍어보자 (0) | 2020.09.07 |
크롭바디와 풀프레임 렌즈의 화각차이 (2) | 2020.09.04 |
저렴한 회오리보케 헬리오스 렌즈 Helios 44M 58mm/F2 흐려짐 문제 수차 초점안맞음 해프닝 (4) | 2020.08.16 |